#1. 웃는 모양을 클릭할거기 때문에 span에 onclick 함수를 넣는다.
onClick={ ()=>{ 실행할 무언가 } }
{ 실행할 무언가 } 안에 실행할 내용을 넣는다.
#2. state로 기능을 만들어 준다.
let [like, likeChange] = useState(0);
좋아요를 클릭했을 때 1씩 증감되어야 하기 때문에
useState(0)을 기본값으로 넣어준다.
state변경 함수로 값을 넣어주어야 재랜더링이 문제없이 잘 된다.
state를 사용하는 이유는?
동적인 데이터를 다루어야 할 때 사용한다.
#3. 버튼을 만들고 클릭했을 때 title이 변경되어야 하는 기능을 만들어보자.
버튼의 기능개발은 아래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button onClick={txtChange}>버튼</button>
<!-- {}안에 작성한 함수명을 삽입하며, 함수명()로 넣게 되면 함수가 바로 실행 되므로
괄호는 넣지 않는다.-->
#3-1. 값이 공유되지 않는 사본생성하기
버튼 클릭시 남자 코트 -> 예쁜 여자 코트 추천으로 바뀌게 하려면
선언했던 posts의 배열 안에 있는 값을 새로운 값으로 다시 선언하여 변경해주어야 한다.
//이때 절대 하면 안되는 방식
var newArray = 글제목[0]; //이 형태는 값이 공유된다.
var newArray = [...posts]; //ES6 신문법으로 값이 공유되지 않는 사본 생성 가능
newArray[0] = '예쁜 여자 코트 추천';
글제목변경 ( newArray ); //변경함수를 가져와서 그 안에 사본 값을 넣는다.
state 사용순서
1. 변수 선언 한 뒤 useState의 사본을 생성한다. [...가져올 변수명];
2. 선언한 변수를 어떻게 바꿀 것인지??
3. 변경 함수에 변수 선언한 값을 넣어 준다.
참고자료
반응형
SMALL
'Library > Rea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ct] React responsive (0) | 2022.06.01 |
---|---|
[React] React의 장점과 단점, 배워야 하는 이유 (0) | 2022.05.31 |
[React] 터미널에 뜨는 eslint warning 없애기 (0) | 2021.12.31 |
[React] state 만드는 방법 (0) | 2021.12.31 |
[React] React 설치하기 (0) | 2021.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