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접근성이란?
: 장애인, 고령자 등이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접근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
웹접근성이 필요한 이유?
: 웹 접근성을 준수하면 장애인, 고령자 등이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다.
그렇다면 쓰지말아야 할 태그는 무엇?
1. blink
: 깜빡이는 효과를 주는 요소
2. marquee
: 텍스트를 수평, 수직으로 흐르게 애니매이션 효과를 주는 요소
두 요소는 웹 페이지를 산만하게 만들고 광과민성 발작 증세가 있는 사용자의 경우 발작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ESC를 눌러도 멈추지 않는다.
지양해야 할 태그는?
1. big, small
: 글자를 크게 또는 작게 해주는 요소. CSS의 font-size로 글씨크기를 지정해주어야 한다.
2. i (Italic: 기울임), b (bold: 굵게), s (Stirke: 취소선)
웹접근성 기반 관련 지침
1. <img>,<imput type="images">,<area> 의 alt값에 그에 맞는 적절한 대체 텍스트 필수 기재
2. IR기법 사용
: 특수문자, 기호, 조직도, 차트 등 복잡한 콘텐츠의 경우 text-indent로 숨기고, 대체 텍스트를 제공
3. 장식, 꾸밈 등의 의미 없는 이미지는 대체 텍스트를 제공하지 않는다.
4. 이모티콘 이미지의 경우 그 이모티콘을 파악할 수 있는 대체 텍스트 제공
5. 멀티미디어 콘텐츠에는 자막, 수화의 내용을 제공해야 한다.
6. 명확한 지시 사항 제공
:모양, 크기, 위치, 방향, 색, 소리에 무관하게 인식될 수 있어야 한다.
7. 텍스트 콘텐츠와 배경 간 명도 대비는 4.5 대 1 이상이어야 한다.
8. 자동으로 소리가 재생되지 않게 해야 한다.
9. 이웃한 콘텐츠가 구별될 수 있어야 한다.
10. 키보드만으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tap을 눌러 항목 이동)
참고자료
[웹접근성 기반 관련 지침]
[웹접근의 정의]
http://www.websoul.co.kr/accessibility/define.asp
http://www.wa.or.kr/m1/sub1.asp
'용어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UI, UX의 뜻과 차이점 (0) | 2021.07.13 |
---|---|
문서 객체 모델(DOM)이란? (0) | 2021.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