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환경에서 vue를 설치해야할 일이 있어 cmd를 통해 재설치해봄
Node.js
Node.js® is a JavaScript runtime built on Chrome's V8 JavaScript engine.
nodejs.org
LTS로 다운 고고
current로 다운받으면 최신 업그레이드된 버전이 다운 받아지는데 그럼 vue server가 실행이 안됨
(왜냐면 불안정한 버전이기 때문에)
LTS버전이란?
장기 지원 버전, 곧 LTS(Long Term Support)는 일반적인 경우보다 장기간에 걸쳐 지원하도록 특별히 고안된 소프트웨어의 버전 또는 에디션이다. 이것은 특히 리눅스를 비롯한 오픈소스 프로젝트에서 적용되고 있다.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및 소프트웨어 릴리스 수명주기에 안정성 엔지니어링이라는 기조를 적용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제품 수명주기 관리 정책이다. 이러한 LTS(장기지원)는 소프트웨어 유지보수기간을 연장한다. 또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패치)의 유형과 빈도를 변경하여 소프트웨어 배포의 위험부담, 비용 및 급작스런 중단을 줄이면서 소프트웨어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이것이 상업적이거나 무한정의 기술 지원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node.js가 설치되었다면 cmd 창을 열어 버전을 확인하자.
버전확인
node -v
현재 버전은 v 17.2.0이다.
vue 설치하기
npm install -g @vue/cli
설치가 끝난 뒤에는 vue를 생성하고자 하는 폴더로 다시 재지정해서 그 안에 vue create를 해주어야 한다.
설치옵션 선택하기
vue create vue-prectice
vue-prectice이 부분은 내가 짓고싶은 파일명으로 작명
옵션을 설정하는 창이 뜬다.
vue3으로 선택하여 클릭
설치 진행중!

터미널 또는 cmd창에서 vue를 만든 폴더 안으로 들어가서 npm run serve 하게 되면 vue local 주소가 나온다.
'Framework > V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Vue] import 와 export 하기 (0) | 2021.12.07 |
---|---|
[Vue] 모달창 만들기 (feat, 조건문) (0) | 2021.12.07 |
[Vue] 함수 사용하기 (0) | 2021.12.07 |
[Vue] Vue를 이용해 원룸사이트 만들어보기 (0) | 2021.12.03 |
[Vue] Vue 템플릿 문법 알아보기 (0) | 2021.12.03 |